[JPA] QueryDSL 이란
·
Study/Spring
QueryDSL QueryDSL 이란 정적 타입을 이용해서 SQL과 같은 쿼리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레임워크 SQL, JPQL을 코드로 작성할 수 있게끔 도와주는 오픈소스 빌더 API 사용 목적 String 방식의 쿼리문을 작성할 시 생기는 문법 오류들을 예방해줌 IDE의 코드 자동완성 기능을 사용 동적 쿼리를 만들기 쉽다 리팩토링에 용이하다 -> 코드를 분석하기 용이 의존성 설정 (build.gradle) plugins { id "com.ewerk.gradle.plugins.querydsl" version "1.0.10" }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com.querydsl:querydsl-jpa' } def querydslDir = "$buildDir/generat..
[Mongo] 몽고(mongoDB)디비 CRUD 쿼리 문법 명령어 정리
·
Study/DB
데이터베이스 명령어 데이터베이스 생성 show dbs -- 데이터베이스 리스트 출력 db -- 현재 사용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출력 db.stats() -- 현재 사용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정보 출력 데이터베이스 사용 use database -- 데이터베이스 사용 혹은 생성(존재하지 않을 경우 생성) -- use를 통해 생성된 데이터베이스는 그 안에 최소 한개의 Document가 존재해야 show dbs를 통해 확인 가능 데이터베이스 삭제 db.dropDatabase() -- 데이터베이스를 삭제 -- 이 명령어는 use DATABASE_NAME를 통해 지울 데이터베이슥 선택되어 있어야 한다. 컬렉션 명령어 컬렉션 생성 // db.createCollection( name[, option]) // name은..
[WEB] 프록시(Proxy)란?
·
Study/WEB
프록시(Proxy)란? 프록시(Proxy)는 "대리"의 의미로, 인터넷과 관련해서 쓰이는 경우, 특히 내부 네트워크에서 인터넷 접속을 할 때에, 빠른 액세스나 안전한 통신 등을 확보하기 위한 중계서버를 "프록시 서버"라고 일컫는다. 클라이언트와 Web 서버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어, 대신 통신을 받아 주는 것이 프록시 서버이다. 프록시(Proxy)의 종류 프록시(Proxy)는 포워드 프록시와 리버스 프록시로 나뉘어져, 기본적으로 포워드 프록시는 클라이언트 쪽, 리버스 프록시는 서버쪽의 설정을 한다. 포워드 프록시 클라이언트의 대신 프록시 서버가 목적 서버에 통신해 주는 구성을 "포워드 프록시"라고 한다. 프록시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아래와 같다. 포워드 프록시의 경우 아래와 같이 프록시 서버가 외부 We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