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비의 스프링 3.1] 스프링(Spring)이란 무엇인가?
·
Study/Spring
1. 스프링(Spring) 스프링은 자바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는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애플리케이션의 바탕이 되는 틀과 공통 프로그래밍 모델 기술 API 등을 제공해 준다. ■ 애플리케이션 기본 틀 - 스프링 컨테이너 스프링은 스프링 컨테이너 또는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라고 불리는 스프링 런타임 엔진을 제공한다. 스프링 컨테이너는 설정정보를 참고로 해서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관리한다. 스프링 컨테이너는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도 있지만 보통 웹 모듈에서 동작하는 서비스나 서블릿으로 등록햇 사용한다.  스프링을 사용하려면 먼저 스프링 컨테이너를 다루는 방법과 스프링 컨테이너가 애플리케이션 오브젝..
[Spring 핵심 원리 - 기본편] @Configuration과 바이트코드 조작의 마법
·
Study/Spring
@Configuration과 바이트코드 조작의 마법 스프링 컨테이너는 싱글톤 레지스트리다. 따라서 스프링 빈이 싱글톤이 되도록 보장해주어야 한다. 그런데 스프링이 자바 코드까지 어떻게 하기는 어렵다. 저 자바 코드를 보면 분명 3번 호출되어야 하는 것이 맞다. 그래서 스프링은 클래스의 바이트코드를 조작하는 라이브러리를 사용한다. 모든 비밀은 @Configuration을 적용한 AppConfig에 있다. @Test void configurationDeep() { 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AppConfig.class); //AppConfig도 스프링 빈으로 등록된다. AppConfig bean = ac.getBean(Ap..
[Spring 핵심 원리 - 기본편] @Configuration과 싱글톤
·
Study/Spring
@Configuration과 싱글톤 그런데 이상한 점이 있다. 코드를 보자 public class AppConfig { //@Bean memberService -> new MemoryMemberRepository() //@Bean orderSErvice -> new MemoryMemberRepository() @Bean public MemberService memberService() { return new Memb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 @Bean public OrderService orderService() { return new OrderServiceImpl( memberRepository(), discountPolicy()); } @Bean public M..
[Spring 핵심 원리 - 기본편] 싱글톤 방식의 주의점
·
Study/Spring
싱글톤 방식의 주의점 싱글톤 패턴이든, 스프링 같은 싱글톤 컨테이너를 사용하든, 객체 인스턴스를 하나만 생성해서 공유하는 싱글톤 방식은 여러 클라이언트가 하나의 같은 객체 인스턴스를 공유하기 때문에 싱글톤 객체는 상태를 유지(stateful)하게 설계하면 안된다. 무상태(stateless)로 설계해야 한다. 특정 클라이언트에 의존적인 필드가 있으면 안된다. 특정 클라이언트가 값을 변경할 수 있는 필드가 있으면 안된다. 가급적 읽기만 가능해야 한다. 필드 대신에 자바에서 공유되지 않는, 지역변수, 파라미터, ThreadLocal 등을 사용해야 한다. ThreadLocal이란? 일반 변수의 수명은 특정 코드 블록(예, 메서드 범위, for 블록 범위 등) 범위 내에서만 유효하다. { int a = 10; ...
[Spring 핵심 원리 - 기본편] 싱글톤 컨테이너
·
Study/Spring
싱글톤 컨테이너 스프링 컨테이너는 싱글톤 패턴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객체 인스턴스를 싱글톤(1개만 생성)으로 관리한다. 지금까지 우리가 학습한 스프링 빈이 바로 싱글톤으로 관리되는 빈이다. 싱글톤 컨테이너 스프링 컨테이너는 싱글톤 패턴을 적용하지 않아도, 객체 인스턴스를 싱글톤으로 관리한다. 이전에 설명한 컨테이너 생성 과정을 자세히 보자. 컨테이너는 객체를 하나만 생성해서 관리한다. 스프링 컨테이너는 싱글톤 컨테이너 역할을 한다. 이렇게 싱글톤 객체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싱글톤 레지스트리라 한다. 스프링 컨테이너의 이런 기능 덕분에 싱글톤 패턴의 모든 단점을 해결하면서 싱글톤으로 유지할 수 있다. 싱글톤 패턴을 위한 지저분한 코드가 들어가지 않아도 된다. DIP, OCP, 테스트, private..
[Spring 핵심 원리 - 기본편] 싱글톤 패턴
·
Study/Spring
싱글톤 패턴 클래스의 인스턴스가 딱 1개만 생성되는 것을 보장하는 디자인 패턴이다. 그래서 객체 인스턴스를 2개 이상 생성하지 못하도록 막아야 한다. private 생성자를 사용해서 외부에서 임의로 new 키워드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막아야 한다. 싱글톤 패턴을 적용해보자 public class SingletonService { private static final SingletonService instance = new SingletonService(); public static SingletonService getInstance() { return instance; } private SingletonService() {} public void logic() { System.out.println("싱글톤..
[Spring 핵심 원리 - 기본편] 웹 애플리케이션과 싱글톤
·
Study/Spring
웹 애플리케이션과 싱글톤 스프링은 태생이 기업용 온라인 서비스 기술을 지원하기 위해 탄생 대부분의 스프링 애플리케이션은 웹 애플리케이션이다. 물론 웹이 아닌 애플리케이션 개발도 얼마든지 개발할 수 있다. 웹 애플리케이션은 보통 여러 고객이 동시에 요청을 한다. public class SingletonTest { @Test @DisplayName("스프링 없는 순수한 DI 컨테이너") void pureContainer() { AppConfig appConfig = new AppConfig(); //1. 조회: 호출할 때 마다 객체를 생성 MemberService memberService1 = appConfig.memberService(); //2. 조회: 호출할 때 마다 객체를 생성 MemberServic..
[JPA] QueryDSL 이란
·
Study/Spring
QueryDSL QueryDSL 이란 정적 타입을 이용해서 SQL과 같은 쿼리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레임워크 SQL, JPQL을 코드로 작성할 수 있게끔 도와주는 오픈소스 빌더 API 사용 목적 String 방식의 쿼리문을 작성할 시 생기는 문법 오류들을 예방해줌 IDE의 코드 자동완성 기능을 사용 동적 쿼리를 만들기 쉽다 리팩토링에 용이하다 -> 코드를 분석하기 용이 의존성 설정 (build.gradle) plugins { id "com.ewerk.gradle.plugins.querydsl" version "1.0.10" }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com.querydsl:querydsl-jpa' } def querydslDir = "$buildDir/generat..
[JPA] 테이블 연관관계 매핑 기초
·
Study/Spring
1. 연관관계 매핑 기초 엔티티들은 대부분 다른 엔티티와 연관관계가 있다. 예를 들어 주문 엔티티는 어떤 상품을 주문했는지 알기 위해 상품 엔티티와 연관관계가 있고 상품 엔티티는 카테고리, 재고 등 또 다른 엔티티와 관계가 있다. 그런데 객체는 참조(주소)를 사용해서 관계를 맺고 테이블은 외래 키를 사용해서 관계를 맺는다. 객체 매칭 관계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이 바로 객체 연관관계와 테이블 연관관계를 매핑하는 일이다. 방향(Direction) : [단방향, 양방향]이 있다. 예를 들어 회원과 팀이 관계가 있을 때 회원 -> 팀 또는 팀 -> 회원 둘 중 한쪽만 참조하는 것을 단방향 관계라 하고, 회원 -> 팀, 팀 -> 회원 양쪽 모두 서로 참조하는 것을 양방향 관계라 한다. 방향을 객체관계에만 존재하고..
[Spring] Spring Security란?
·
Study/Spring
대부분의 시스템에서는 회원의 관리를 하고 있고, 그에 따른 인증(Authentication)과 인가(Authorization)에 대한 처리를 해주어야 한다. Spring에서는 Spring Security라는 별도의 프레임워크에서 관련된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데, 이번에는 Spring Security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1. Spring Security란? [Spring Security란?] Spring Security는 Spring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의 보안(인증과 권한, 인가 등)을 담당하는 스프링 하위 프레임워크이다. Spring Security는 ‘인증’과 ‘권한’에 대한 부분을 Filter 흐름에 따라 처리하고 있다. Filter는 Dispatcher Servelet으로 가기 전에 적용되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