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관관계 매핑 기초
엔티티들은 대부분 다른 엔티티와 연관관계가 있다. 예를 들어 주문 엔티티는 어떤 상품을 주문했는지 알기 위해 상품 엔티티와 연관관계가 있고 상품 엔티티는 카테고리, 재고 등 또 다른 엔티티와 관계가 있다. 그런데 객체는 참조(주소)를 사용해서 관계를 맺고 테이블은 외래 키를 사용해서 관계를 맺는다. 객체 매칭 관계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이 바로 객체 연관관계와 테이블 연관관계를 매핑하는 일이다.
방향(Direction) : [단방향, 양방향]이 있다. 예를 들어 회원과 팀이 관계가 있을 때 회원 -> 팀 또는 팀 -> 회원 둘 중 한쪽만 참조하는 것을 단방향 관계라 하고, 회원 -> 팀, 팀 -> 회원 양쪽 모두 서로 참조하는 것을 양방향 관계라 한다. 방향을 객체관계에만 존재하고 테이블 관계는 항상 양방향이다.
다중성(Multiplicity) : [다대일(N:1), 일대다(1:N), 일대일(1:1), 다대다(N:N)] 다중성이다. 예를 들어 회원과 팀이 관계가 있을 때 여러 회원은 한 팀에 속하므로 회원과 팀은 다대일 관계다. 반대로 한 팀에 여러 회원이 소속될 수 있으므로 팀과 회원은 일대다 관계다.
연관관계의 주인(Owner) : 객체를 양방향 연관관계로 만들면 연관관계의 주인을 정해야 한다.
1.1 단방향 연관관계
회원과 팀의 관계를 통해 다대일 관계를 알아보자.
- 회원과 팀이 있다.
- 회원은 하나의 팀에만 소속될 수 있다.
- 회원과 팀은 다대일 관계다.
그림은 분석해보자.
- 객체 연관관계
- 회원 객체는 Member.team 필드(멤버변수)로 팀 객체와 연관관계를 맺는다.
- 회원과 팀 객체는 단방향 관계다. 회원은 Member.team 필드를 통해서 팀을 알 수 있지만 반대로 팀은 회원을 알 수 없다.
- 테이블 연관관계
- 회원 테이블은 TEAM_ID 외래 키로 팀 테이블과 연관관계를 맺는다.
- 회원 테이블과 팀 테이블은 양방향 관계다. 회원 테이블의 TEAM_ID 외래 키를 통해서 회원과 팀을 조인할 수 있고 반대로 팀과 회원도 조인할 수 있다.
SELECT *
FROM MEMBER M
JOIN TEAM T ON M.TEAM_ID = T.ID;
SELECT *
FROM TEAM T
JOIN MEMBER M ON T.TEAM_ID = M.TEAM_ID;
- 객체 연관관계와 테이블 연관관계의 가장 큰 차이
- 참조를 통한 연관관계는 객체 간의 연관관계를 양방향으로 만들고 싶으면 반대쪽에도 필드를 추가해서 참조를 보관해야 한다. 결국 연관관계를 하나 더 만들어야 한다.
- 이렇게 양쪽에서 서로 참조하는 것을 양방향 연관관계라 한다. 정확히 이야기하면 이것은 양방향 관계가 아니라 서로 다른 단방향 관계 2개다.
- 반면에 테이블은 외래 키 하나로 양방향으로 조인할 수 있다.
- 양방향 연관관계
class A {
B b;
}
class B{ }
1.1.1 순수한 객체 연관관계
public class Member {
private String id;
private String username;
@Getter
@Setter
private Team team; //팀의 참조를 보관
}
@Getter
@Setter
public class Team {
private String id;
private string name;
}
회원 1, 회원 2를 팀 1에 소속시켜 보자
Team team1 = new Team("team1", "팀1");
Member member1 = new Member("member1", "회원1");
Member member2 = new Member("member2", "회원2");
member1.setTeam(team);
member2.setTeam(team);
Team findTeam = member1.getTeam();
1.1.2 테이블 연관관계
CREATE TABLE MEMBER (
MEMBER_ID VARCHAR(255) NOT NULL,
TEAM_ID VARCHAR(255),
USERNAME VARCHAR(255),
PRIMARY KEY (MEMBER_ID)
)
CREATE TABLE TEAM (
TEAM_ID VARCHAR(255) NOT NULL,
NAME VARCHAR(255),
PRIMARY KEY (TEAM_ID)
)
ALTER TABLE MEMBER ADD CONSTRAINT FK_MEMBER_TEAM
FORIGN KEY (TEAM_ID) REFERENCES TEAM;
1.1.3 객체 관계 매핑
@Entity
@Getter
@Setter
public class Member {
@Id
@Column(name = "MEMBER_ID")
private String id;
private String username;
//연관관계 매핑
@ManyToOne
@Joincolumn(name = "TEAM_ID")
private Team team;
}
@Entity
@Getter
@Setter
public class Team {
@Id
@Column(name = "TEAM_ID")
private String id;
private String name;
}
1.1.4 @JoinColumn
속성 | 기능 | 기본값 |
name | 매핑할 외래 키 이름 | 필드명 + _ + 참조하는 테이블의 기본 키 컬럼명 |
referencedColumnName | 외래 키가 참조하는 대상 테이블의 컬럼명 | 참조하는 테이블의 기본 키 컬럼명 |
foreignKey(DDL) | 외래 키 제약조건을 직접 지정. 테이블을 생성할 때만 사용 |
- |
unique, nullable, insertable, updatable, columnDefinition, table | @Column 속성과 같음 | - |
1.1.5 @ManyToOne
속성 | 기능 | 기본값 |
optional | false로 설정하면 연관된 엔티티가 항상 있어야 함 | true |
fetch | 글로벌 패치 전략을 설정 | @ManyToOne=EAGER, @OneToMany=LAZY |
cascade | 영속성 전이 | - |
targetEntity | 연관된 엔티티의 타입 정보를 설정(제네릭) | - |
1.2 연관관계 사용
1.2.1 저장
//팀1 저장
Team team1 = new Team("team1", "팀1");
em.persist(team1)
//회원1 저장
Member member1 = new Member("member1", "회원1");
member1.setTeam(team);
em.persist(member1);
1.2.2 조회
Member member = em.find(Member.class, "member1");
Team team = member.getTeam(); //객체 그래프 탐색
1.2.3 수정
//새로운 팀2
Team team2 = new Team("team2", "팀2");
em.persist(team2);
//회원 1에 새로운 팀2 설정
Member member1 = em.find(Member.class, "member1");
member1.setTeam(team2);
- 단순히 불러온 엔티티의 값만 변경해 두면 트랜잭션을 커밋할 때 플러시가 일어나면서 변경 감지 기능이 작동
- 변경 사항을 DB에 자동으로 반영
1.2.4 연관관계 제거
Member member1 = em.find(Member.class, "member1");
member1.setTeam(null); // 연관관계 제거
1.2.5 연관된 엔티티 삭제
member1.setTeam(null); //회원1 연관관계 제거
member2.setTeam(null); //회원2 연관관계 제거
em.remove(team); //팀 삭제
1.3 양방향 연관관계
- 양방향 매핑의 장점
- 단방향 매핑으로 이미 연관관계 매핑은 완료
- 양방향은 반대 방향으로 객체 그래프 탐색 기능이 추가된 것
- 단방향 매핑을 잘하고 양방향 매핑은 필요할 때 추가해도 됨
1.3.1 양방향 연관관계 매핑
@Entity
public class Member {
//동일
}
@Entity
public class Team {
//추가되는 부분
@OneToMany(mappedBy = "team")
private List<Member> members = new ArrayList<>();
}
- mappedBy
- 양방향 매핑일 때 사용
- 반대쪽 매핑의 필드 이름을 값으로 사용
- 반대쪽 매핑이 Member.team 이므로 "team"
1.3.2 일대다 컬렉션 조회
Team team = em.find(Team.class, "team1");
List<Member> members = team.getMembers(); //팀 -> 회원, 객체 그래프 탐색
for (Member member : members) {
//....
}
1.4 연관관계의 주인
- 객체에는 양방향 연관관계는 없음
- 서로 다른 단방향 연관관계 2개를 애플리케이션 로직으로 양방향인 것처럼 보이게 할 뿐
-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은 외래 키 하나로 양쪽이 서로 조인 가능
- 테이블은 외래 키 하나만으로 양방향 연관관계 가능
- 엔티티를 양방향 연관관계로 설정하면 객체의 참조는 둘인데 외래키는 하나
- 따라서 둘 사이에 차이가 발생
- 두 객체 연관관계 중 하나를 정해서 테이블의 외래 키를 관리해야 하는데 이것을 연관관계의 주인(Owner)이라 함
1.4.1 양방향 매핑의 규칙 : 연관관계의 주인
- 두 연관관계 중 하나를 연관관계의 주인으로 설정
- 연관관계의 주인만이 데이터베이스 연관관계와 매핑되고 외래 키를 관리(등록, 수정, 삭제)할 수 있음
- 반면에 주인이 아닌 쪽은 읽기만 할 수 있음
- 주인은 mappedBy 속성을 사용하지 않음
- 연관관계의 주인을 정한다는 것은 사실 외래 키 관리자를 선택하는 것
1.4.2 연관관계의 주인은 외래 키가 있는 곳
- 회원 테이블이 외래 키를 가지고 있으므로 Member.team이 주인
- 주인이 아닌 Team.members에는 mappedBy="team" 속성을 사용해서 주인이 아님을 설정
- 여기서 mappedBy값으로 사용된 team은 연관관계의 주인인 Member 엔티티의 team 필드를 말함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다대일, 일대다 관계에서는 항상 다 쪽이 외래키를 가짐
다 쪽인 @ManyToOne은 항상 연관관계의 주인이 되므로 mappedBy를 설정할 수 없다.
1.5 양방향 연관관계 저장
5.2.1 참조
member1.setTeam(team); //연관관계 설정(연관관계의 주인)
1.6 양방향 연관관계의 주의점
//회원1 저장
Member member1 = new Member("member1", "회원1");
em.persist(member1);
Team team = new Team("team1", "팀1");
//주인이 아닌 곳만 연관관계 설정
team.getMembers().add(member1);
em.persist(team1);
1.6.1 순수한 객체까지 고려한 양방향 연관관계
- 객체 관점에서 양쪽 방향에 모두 값을 입력해 주는 것이 가장 안전
- 양쪽 방향에 모두 값을 입력하지 않으면 순수한 객체 상태에서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팀1
Team team1 = new Team("team1", "팀1");
Member member1 = new Member("member1", "회원1");
member1.setTeam(team); //연관관계 설정 member1 -> team1
List<Member> members = team1.getMembers();
//members.size()는?
- ORM은 객체와 데이터베이스 둘 다 고려
//팀1
Team team1 = new Team("team1", "팀1");
em.persist(team1);
Member member1 = new Member("member1", "회원1");
//양방향 연관관계 설정
member1.setTeam(team); //연관관계 설정 member1 -> team1
team1.getMembers().add(member1); //연관관계 설정 team1 -> member1, 저장시 사용하지는 않음
em.persist(member1);
1.6.2 연관관계 편의 메소드
- 양방향 연관관계는 결국 양쪽 다 신경을 써야 함
- 실수로 둘 중 하나만 호출해서 양방향이 깨질 수 있음
public class Member {
private Team team;
public void setTeam(Team team) {
this.team = team;
team.getMembers().add(this);
}
}
//연관관계 설정
member1.setTeam(team1);
1.6.3 연관관계 편의 메소드 작성 시 주의사항
member1.setTeam(teamA);
member1.setTeam(teamB);
Member findMember = teamA.getMember(); //member1이 여전히 조회
- teamB로 변경할 때 teamA -> member1 관계를 제거하지 않음
public class Member {
public void setTeam(Team team) {
//기존 팀과 관계를 제거
if (this.team != null) {
this.team.getMembers().remove(this);
}
this.team = team;
team.getMembers().add(this);
}
}
'Study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핵심 원리 - 기본편] 웹 애플리케이션과 싱글톤 (0) | 2023.02.19 |
---|---|
[JPA] QueryDSL 이란 (0) | 2023.02.17 |
[Spring] Spring Security란? (0) | 2023.01.31 |
[Spring] 좋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이란? (0) | 2023.01.24 |
[Spring] JPA 란? (0) | 2023.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