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bject 안에서 function을 사용하는 방법들과 실제 함수에서 자주 쓰이는 return을 공부했다
해본 적이 있어서 이해하는데 어렵지는 않았다
그리고 prompt를 공부중인데 잘 안쓴다고 한다
이유는 message가 별로 이쁘지 않고 어떤 스타일(css)도 적용시킬 수 없다 한다
아주 오래된 function 그리고 가장 직접적인 function
실행되는 동안 JS는 일시정지
const age = prompt(String "How old are u?", default값 "28") //default 값은 미리 작성되는 값
console.log(age)
요즘 대부분은 각자 만든 html과 css로 값을 받는다 한다
type 형변환
먼저 값의 type을 보려면
console.log(typeof age)
한 칸 띄고 변수 적기
괄호 안쓰는게 어색하긴 한데 괄호를 써도 동작은 한다
parseInt()
Int형으로 타입을 변환시켜줌
parseInt("15")
String으로 받고 숫자 본연으로 값을 이용하고 싶다면 유용하게 쓰일 function 이다
String이면 숫자 크기를 비교할 수 없고 더하거나 뺄 수 없다
참고) NaN = Not a Number
1. to Number 형변환 함수들
pasefloat(string)
Number(string)
+ "string"
string * 1
2. Number to String 함수들
(Number).toString()
String(Number)
Number + ""
// Boolean에서도 가능
3. Number And String to Boolean
Boolean(Number)
!!(Number)
// String to Boolean 도 동일
4. Object to Boolean
Boolean({}); // true (객체)
Boolean([]); // true (배열)
// 객체인지 배열인지 구분 가능
isNan
Number 인지 아닌지 True or False 형식인 Boolean으로 알려줌
Number면 false 아니라면 True
if
내가 사랑하는 if
if(condition){
/// condition === true
} else if(condition) {
/// another condition === true
} else {
/// condition === false
}
다른 언어들이랑 똑같다
condition은 boolean 무조건 true or false
isNan을 이용해서 Number String을 판단해서 이용 가능
&& 와 ||
true && true == true
true && false == false
false && false == false
true || true == true
true || false == true
false || false == false
== 와 ===
==는 둘의 True와 False를 확인
===는 더 엄격한 연산자로서 둘의 값과 값의 데이터타입이 같은지 확인
const num1 = 1
const num2 = "1"
console.log(num1 == num2) // True
console.log(num1 === num2) // False
console.log(num1 !== num2) // True
'Study > 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닐라 JS로 크롬 앱 만들기 (2022/01/08) by 노마드 코더 (5) (0) | 2022.01.08 |
---|---|
바닐라 JS로 크롬 앱 만들기 (2022/01/06) by 노마드 코더 (4) (0) | 2022.01.06 |
바닐라 JS로 크롬 앱 만들기 (2022/01/05) by 노마드 코더 (3) (0) | 2022.01.05 |
바닐라 JS로 크롬 앱 만들기 (2022/01/02) by 노마드 코더 (0) | 2022.01.02 |